HP노트북(우분투 서버)에 우분투를 설치하고, SSH server 세팅까지 해줬다.
openssh server 설치
- dpkg -l | grep openssh 명령어로 openssh 설치여부를 확인하면 openssh-client 만 있을 것이다.
(아래 스크린샷은 ssh server 설치해서 다 보이지만 -server, -sftp-server는 안보일거다.)
ssh-server가 설치 안되어있다는 전제하에 open-server를 설치해줄 것이다.
- sudo apt install openssh-server 명령어로 설치 하고
- dpkg -l | grep openssh 명령어로 확인해보면 -server, -sftp-server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!
ssh 시작
- sudo service ssh start 로 ssh를 시작해주고,
- service --status-all | grep + 명령어로 상태를 확인해보면
ssh가 정상적으로 실행됨을 볼 수 있다 (밑에서 5번째)
ssh 사용 포트 확인
- sudo netstat -antp 명령어로 ssh 사용 포트를 확인해보면 22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.
putty 접속(다른PC에서 원격접속)
다른PC에서 putty를 통해 접속하기 위해선 IP를 확인해야하는데,
- ifconfig를 통해 IP 확인후 다른PC에서 서버PC IP로 접속한다.
wlo1에 inet 주소로 원격을 시도하면된다!
이후 정상적으로 접속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!
※ 현재는 동일한 공유기에서 접속을 했기에 내부망에서만 접속할 수 있는 문제가 있지만, 포트포워딩을 통해 외부에서 접속 가능하게끔 해주었다!
외부접속을 위한 포트포워딩
iptime admin에 접속해서 NAT/라우터 관리> 포트포워드 설정에서 설정해준다.
- 내부IP주소 : 홈서버 주소
- 외부포트 : 외부에서 접속할 때 포트(아무거나 써도됨)
- 내부포트 : 홈서버포트
이는 외부에서 공인ip : 50 으로 접속을 하면 내부IP의 내부포트로 포워딩해주겠다는 뜻이다.
즉, 외부에서 공인ip:50 으로 putty 접속을 하면 내부IP:내부포트 로 연결
그럼 공인IP는 어디서 확인하냐 ?
시스템 요약정보에 들어가면 우측에 외부IP 주소가 보일것이다.
그러면 외부에서도 putty를 이용해서
IP : 외부IP주소 PORT: 우리가 설정해준 외부포트
로 접속하면 외부에서도 서버 접속 완~료~
'프로그래밍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] Toast-Ui-Editor (tui에디터) Viewer/Editor에서 유튜브 썸네일 삽입하기 (0) | 2025.01.08 |
---|---|
[TypeScript] 타입스크립트 기본타입 (0) | 2024.12.08 |
[TypeScript] 타입스크립트란 ? (1) | 2024.12.08 |
[우분투 설치] 오래된 노트북(HP) 에 우분투 설치하기! (0) | 2021.07.16 |
[우분투] 부팅USB 만들기 (1) | 2021.07.16 |